[트렌드:성과관리] 2024년 주목해야 할 5가지 성과관리 트렌드
1️⃣ Transparent career paths - 커리어패스에 대한 투명성 요구 증대
'내가 한 일의 성과와 내가 가진 역량 및 기술이 나의 경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과거에 비해 현격히 낮아진 커리어 패스의 가시성으로 인해 커리어 정체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커리어
개발 기회에 대한 탐색이 더욱 활발해지고, 이직도 늘고 있습니다.
회사는 커리어 정체에 대한 구성원의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성장 기회와 경로를 투명하게 제시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2️⃣ Reskilling in the era of AI - AI 활용을 위한 기술 교육 투자 확대
생성형 AI가 근무 시간의 40%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링크) 이처럼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AI 기술과 관련한 리스킬링은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며, HR 역시 AI 기술의 수요자로서 업무에 이를
어떻게 적용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그림이 필요합니다.
3️⃣ AI can’t replace soft skills -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소프트 스킬에 대한 수요 증가
AI 시대에 필요한 기술로 AI와 빅데이터를 다루는 하드 스킬뿐 아니라, AI와의 협업과 분업, 사람 간의 협업에
필요한 소프트 스킬의 중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습니다. AI 시대에 특히 요구되는 소프트 스킬에는
창의적·비판적 사고, 감성 지능, 공감적 커뮤니케이션, 회복탄력성, 성장 마인드셋 등이 있습니다.
4️⃣ Individualized EX - 구성원 경험(EX)의 맞춤형 설계 중요성 확대
개인화된 선호와 가치 판단에 따라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 역시 다양해지면서, 구성원들은 회사에 긍정적인
경험 요소를 제각기 요구하고 있습니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이 이러한 요구사항을
어떻게 이해하고 구성원별 맞춤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집중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5️⃣ Nurturing middle managers - 중간관리자에 대한 권한 부여 및 지원의 필요성 제고
구성원 경험과 성과관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간관리자들의 역할과 의무는 더욱 강조되나, 적절한
권한과 지원이 주어지지 않아 이들의 번아웃은 날로 심화하고 있습니다. 중간관리자의 번아웃을 해소하고,
리더로서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권한과 리더십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성과관리 트렌드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2024년 주목해야 할 성과관리 트렌드: TRAIN - 레몬베이스 캠프
성과관리 서비스 레몬베이스는 급격한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는 2024년을 'TRAIN: 청룡의 열차(train)에 올라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훈련(train)에 매진해야 하는 해'로 규정하며 성과
lemonbase.com
[출처] 레몬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