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휴가 참 복잡하고 어렵죠?
입사일 기준은 뭐고, 회계연도 기준은 또 뭔지..
🔎 헷갈리는 연차계산법! 한방에 정리해 드립니다!
💡 핵심 포인트
✔ 연차유급휴가는 입사연도를 기준으로 부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 연차유급휴가는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부여할 수 있으나 입사연도 기준보다 불리하지 않아야 한다.
✔ 중도입사자의 경우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운영하더라도 매월 개근 시 1일의 휴가를
부여 하여야 한다.
[출처] HR레시피
💡 연차휴가 관리에 적합한 HR SaaS 추천 → 핀플(pinple)
[HR 제품 소개] 핀플(pinpl)
💡 상품 개요 근로기준법, 규정, 행정에 기반한 기업의 핵심솔루션, 핀플(pinpl) 💡 요금 : 1PIN = 1,100원 더 자세한 요금 관련 내용은 핀플 - 비대면 인사관리 SaaS (pinpl.biz) 에서 확인하세요. Cloud Nati
hr-for-you.tistory.com
'HR 콘텐츠 > 근태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태관리] 바뀐 '연장근로 한도 위반 기준' 정리 (0) | 2024.02.22 |
---|---|
[근태관리] 재택근무 중 야근한 직원, 야근 수당 지급해야 할까? (0) | 2024.02.14 |
[근태관리] '연차제도'의 모든 것, 한번에 완벽 정리! (1) | 2024.02.05 |
[출퇴근관리] 우리회사는 어떤 출퇴근방식이 맞을까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