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근무5 [하이브리드근무] 하이브리드근무 평가 방법 '5C' 하이브리드 워크 평가 항목, 5C란? 우선 우리는 하이브리드 워크의 5C에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알아야겠죠? 5C는 Communication(커뮤니케이션), Coordination(조정), Connection(연결), Creativity(창의성), Culture(기업 문화)를 말합니다. 📌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회사의 구성원들이 분산된 환경에서는 특히 일부는 사무실에, 일부는 원격으로 회의를 할 때 기술적인 문제나 정보 공유의 소홀함 등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 있는 일부 직원들만 정보를 독점함으로 인해 직원들 간 장벽이 발생하고, 심하면 정보를 가지고 있는 직원들에게 힘이 몰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는 문서화와 협업툴을 적극.. 2024. 3. 18. [주4일제] 주4일제는 정말 가능할까? 데이터가 말하는 주 4일 근무제 주 40시간 미만 근무의 영향과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뉴질랜드의 부동산 관리 회사인 Perpetual Guardian의 연구에 따르면 2018년 3월~4월 사이에 직원 240명을 대상으로 급여는 동일하게 지급하고 근로 시간을 40시간에서 32시간으로 줄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스트레스 수준 7% 감소 업무 만족도 5% 증가 24%는 워라밸 수준이 좋아졌다고 느낌 이 회사의 실험에서 중요한 것은 근무 시간을 주간 8시간 줄였지만 업무 성과는 동일하게 유지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직원들이 단축된 근무 시간 내에 업무 기대치를 수행하려는 동기가 더 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보다 대규모.. 2024. 3. 18. [재택근무] 재택근무를 하며 배운것들 일하는 장소, 모두가 똑같아야 할까? 최근엔 직원들이 사무실에 며칠 출근해야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들이 대다수입니다. 옥스퍼드 대학교 비즈니스 스쿨의 조나단 트레버(Jonathan Trevor) 교수는 직원들이 맡고 있는 업무의 유형을 파악하고 업무 유형에 맞는 일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가 실제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부분의 업무는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디자인과 같이 혼자서 집중해서 하는 창의적인 업무, 2) 데이터를 다루는 것과 같이 혼자서 진행하는 업무, 3) 일상적인 프로젝트 관리 업무, 그리고 4) 제품 개발과 같이 협업이 필요한 업무입니다. 앞의 두 가지 업무 방식은 원격으로도 충분히 진행할 수 있는 반면 협업 기반의 업무는 그렇지 않.. 2024. 3. 15. [트렌드] 2024년 재택근무 트렌드와 전망 2024년에도 재택근무는 여전히 가능할까요? 원격근무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와 현상을 살펴보면서 2024년의 트렌드와 전망은 어떨지 살펴볼게요. 하이브리드 근무로 만족 중 팬데믹은 사람들이 일하는 장소와 방식에 대한 장기적인 기대를 변화시킨 사건이었습니다. 202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98%는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만이라도 원격근무를 희망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원격근무에 대한 직장인들의 선호도는 압도적이죠. 유연성, 자율성,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추세입니다. 2023년 한 해 많은 기업들이 원격근무 방식을 중단하면서 사무실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직원들과 갈등을 겪었는데요, 그 절충안으로 ‘하이브리드 근무’가 대세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이브리드 .. 2024. 2. 28. [출퇴근관리] 우리회사는 어떤 출퇴근방식이 맞을까 엑셀 및 수기 관리 장점 소프트웨어나 새로운 툴의 별도 학습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엑셀 수식을 활용해 다양한 유형의 근무 시간 계산 용이 유연한 근무 기록 수정 및 변경 가능 단점 (수기 작성) 대리 서명 등 출퇴근 기록의 신뢰도 의심 (수기 작성) 실시간 출퇴근 현황 확인이 어려움 (수기 작성) 수기 기록과 실제 근무 시간이 맞는지 확인 불가능 근태 기록의 데이터 수동 업로드 → 누락 및 오기입으로 정확성 의심, 임금 지급 문제 발생 관리자의 근태 관리 업무 과부하 → 수동 데이터 입력, 기록 변경 시 일일이 대조 및 수정 작업 진행 사원증&지문 태그 장점 태깅으로 정확한 사무실 출입 데이터 확보 실시간 출퇴근 현황 파악 가능 (지문 인식의 경우) 구성원 본인의 생체 기록으로만 인증 가능 단점 (사원.. 2024. 2.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