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휴직5

[사례_육아휴직] 육아휴직 중에 복귀일을 좀 당길 수는 없나요? 현재 육아휴직 중입니다. 그런데 다행히 남편이랑 상의하여 친청 엄마 집 근처로 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예정 복귀일 보다 몇 달 일찍 복직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가능할까요? 우선 핵심만 말씀드리자면, 조기복직의 경우 회사가 조직직을 무조건 받아들여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조기복직을 원한다면, 회사와 충분히 조율한 후에 복직 일자를 조정하시길 바랍니다. 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에 따르면 휴직종료예정일은 1회에 한하여 연기가 가능하나(제12조 2항), 종료 예정일을 앞당겨 줄 것을 요구하는 경우 사업주가 거부할 수가 있습니다.(여성고용정책과-655, 2012.3.16). 다만 동법 시행령 제 14조에서 예외사항을 두어 7일 이내 사업주에게 사실을 알리면 육아휴직이 끝난 것으로 간주합니다. 회사는 육아휴.. 2024. 3. 25.
[사례_육아휴직] 육아휴직 했더니 낮은 고과를 줘? 지금까지 한번도 C를 받아본 적이 없는데. 그리고 C를 받으면 승진도 어려운데 이러면 육아휴직을 쓰지 말라는 얘기가 아닌가요? 육아휴직으로 C를 줘도 되나요? 우선 핵심만 말씀드리자면,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불리한 처우는 금지됩니다. 또한 '합리적인 이유' 여부는 회사에서 입증해야 합니다. 남녀고용평등법 제 19조 3항에서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금지하고 있으나, 그 불리한 처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석으로 '불리한 처우'란 육아휴직 후 합리적인 이유 없이 휴직, 정직, 배치전환, 전근, 출근정지, 송급정지, 감봉 등 근로자에게 경제,정신,생활상의 불이익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여성고용정책과-2640,2013.12.10) 일반적인 실무에서는.. 2024. 3. 22.
[휴직] 모부성 보호 관련 제도, 총정리 해드립니다 육아휴직, 출산휴가, 근로시간 단축 등등..! 모성보호와 관련된 제도가 이렇게나 많으니 복잡하셨죠? 🔎 이번 기회에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지원금 관련 정보도 있으니 놓지지 말고, 챙겨가세요. [출처] HR레시피 2024. 2. 7.
[육아휴직] '6+6 부모육아휴직제'의 시대! 육아휴직이란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돌보기 위해 맞벌이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첫 6개월에 대한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의 100%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작년까진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동반 육아휴직에 대해 첫 3개월간 통상임금 100%를 주는 '3+3' 제도를 운영했다가 올해 '6+6'으로 확대했죠. 상한액도 1개월차 200만원에서 매월 50만원씩 인상해 6개월 차엔 450만원까지 늘어납니다.. 부모 모두 통상임금이 월 450만원 이상이라면 부모가 합쳐 6개월에 최대 3천900만원을 받는 것이죠. 🔎 '6+6 부모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모든것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고용노동부 2024. 2. 5.
[육아휴직] 2024년 바뀌는 육아휴직제도 총정리 🔎 거두절미하고, 2024년 최신판 [육아휴직제도] 총정리 들어갑니다. 2024 바뀌는 육아휴직제도 1년6개월, 6+6 육아휴직급여 신청방법(그외 지원금 총정리) [BY 엄마공부] 안녕하세요 '엄마공부' 입니다:D 오늘은 2024 변하는 육아휴직제도 1년에서 1년6개월 기... m.post.naver.com [출처] 엄마공부 (네이버포스트)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