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R7 [평가] OKR에 적합한 평가 보상 시스템 ‘OKR은 무엇인가’ OKR은 목표관리 시스템이다. 많은 조직에 OKR이 KPI를 대체하는 새로운 경영방식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여기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경영방식’이다보니, 교육을 한다고 해도 리더십 일부에게만, 그나마도 피상적이고 원론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 OKR은 조직의 목표를 담대하고 도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서 구성원의 몰입을 극대화하고,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다. 여기까지가 OKR의 역할이다. 그 이후의 프로세스는 다른 도구를 적용해야 한다. 이것이 “보상에서의 분리(Decoupled from Compensation)”의 취지다. ‘구성원들은 OKR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인텔, 구글 같은 회사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전사 OKR이 없이 팀장.. 2024. 3. 19. [성과관리] OKR과 KPI를 함께 활용해야 하는 이유 KPI만 사용했을 때 빠지기 쉬운 함정 KPI가 잘 맞는 시장과 비즈니스 상황에는 잘 작동하는 장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KPI만 보고 팀이 움직일 때 놓치기 쉬운 문제점이 있습니다. 문제 1) 적절한 목표를 잡기가 어려워요 대부분 주관적으로 ‘이 정도면 적절할거야’ 하는 KPI 목표를 설정합니다. 한 마디로 감으로 때리는 거죠. 너무 낮은 KPI: 목표치가 낮으면 성과를 달성해도 충분한 성과인지 알 수 없어요.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구성원의 의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너무 높은 KPI: 팀 전체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어요. 성과 달성이 안 됐을 때, 편향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팀의 역량도 잘못 평가되기 쉽습니다. 문제 2) 미달성 이유를 찾기 힘들어요 예를 들어, KPI를 ‘매출’이라고 .. 2024. 3. 7. [성과관리] 성과도 관리를 하는 건가요? 이맘때쯤이면 삼성에는 성과금이 몇 % 받는다더라, 계열사 어디는 얼마를 받는다더라..라고 하면서 성과금 관련하여 언론에서나 주변 사람과 많은 얘기를 하면서 허탈감을 많이 받으실텐데요. 그럼 이때 말하는 성과는 무엇을 기반으로 하는 건지? 우리 회사에서 말하는 성과는 또 무엇인지 궁금해집니다. 조직관리의 핵심으로 떠오르고있는 성과관리에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성과란 무엇인지 그리고 올바른 성과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해야할 일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아래의 글을 통해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성과 관리] 우리는 왜 평가만 있고 성과는 없을까? 1. 상대적인 '성과 평가'가 아닌 '성과 관리' 방식2. 새로운 성과 관리 방식, OKR3. OKR의 문제점?4. OKR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한 준비 3가지 진행 방향과.. 2024. 2. 13. [HR 제품 소개] 퍼포먼스 플러스(Performance Plus) 💡 상품 개요 상시 성과관리 및 애자일 조직운영에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 퍼포먼스 플러스(Performance Plus) 💡 요금 : 별도 문의 💡 기능 ✔ 목표관리 ✔ 인정과 피드백 ✔ 협업 ✔ 리뷰 ✔ 360 피드백 ✔ 1:1 미팅 💡 도입사례 : 현대홈쇼핑, NICE신용평가, jw중외제약, GS에너지 등 💡 앱 평점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4.2 4.8 💡 회사 정보 ✔ 회사명 : Human Consulting Group ✔ 연락처 : (유선) 02-2194-5000 ✔ 홈페이지 : HCG (e-hcg.com) HR Total Solution Provider HR 컨설팅, e-HR 솔루션, 급여 아웃소싱 등 HR 모든 영역에 걸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e-hcg.com 💡 도.. 2024. 2. 7. [성과관리] 'OKR'을 알고싶다면, 이거 하나로 충분합니다 💡 'OKR'이란? OKR은 ‘목표(Objective)와 핵심지표(Key Result)’를 의미합니다. 목표를 수립할 때 Objective(목표)와 Key Result(핵심지표)를 서술하기 때문에 OKR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는데요, Objective는 목표를 의미하며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할 수 있고 영감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서술되어야 합니다. 💡 'OKR' 특징 OKR은 주로 분기 단위로 목표를 수립할 때 활용되며 원대한 목표, 야심찬 목표를 설정해 구성원들을 동기부여할 때 활용됩니다. 목표는 주로 팀 간, 개인 간의 협력적 목표로 구성됩니다. OKR은 평가와 연동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MBO는 Management By Objective의 약자로 목표에 의한 관리를 의미합니다. 주로 연간 목표를.. 2024. 2. 6. [목표관리] 좋은 목표의 특징 회사에서는 늘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고자 합니다. OKR 예시, KPI 설정하는 방법, OKR과 KPI의 차이 등에 대해 검색하고 ‘우리는 스타트업이니까 OKR을 적용하자’며 OKR 방법론을 사용하고는 하죠. 그러나 목표관리에 있어 OKR, KPI, MBO와 같은 방법론적 측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왜 목표를 수립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고 구성원과 이에 대해 싱크를 맞추는 것입니다. 목표의 중요성을 인지했다면 목표설정 단계에서 적절한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OKR KPI 등 목표관리 방법과 무관하게 목표 그 자체가 중요한 이유, 좋은 목표가 가져야 하는 특징을 OKR 예시를 통해 살펴봅니다. OKR, KPI 목표 설정 방법 : 좋은 목표의 특징 OKR, KPI 등의 목표설정을.. 2024. 2.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