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 출근하면 다양한 개성과 성격을 가진 동료들이 있다. 요즘 유행하는 MBTI식으로 표현해도 16가지나 되지만, 우리가 실제 팀워크를 하면서 느끼는 동료나 상사의 유형은 더욱 다양하다. 그도 그럴 것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은 대조적인 조건들이 몇 가지 결합된 이른바 ‘유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 대응되어 나오는 반응’이라고 봐야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심리학자들은 개인 성격(Personality, 인성)과 환경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격 특성이 업무에서 발생시키는 효과를 설명하려는 기존의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일의 의미에 초점을 맞춘 설명과 개인 인성과 직무 상황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설명이다.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조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광범위하고 복잡하며 다층적인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일부 특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특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리더십 능력은 조직 내에서 팀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공감력, 이해심, 비전, 그리고 동기 부여 능력이 포함된다. 이러한 특성을 갖춘 리더는 팀원들을 동기부여하고 효율적으로 가이드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반드시 리더가 아니라도 좋은 리더십을 가진 팀원은 다른 팀원들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긍정적인 성격은 동료들과의 관계를 향상시켜 효율적인 팀워크를 유도하고 조직 내 부서 간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협업 및 소통 능력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효과적인 협업은 팀의 협력과 상호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문제 해결과 이해관계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소통은 불필요한 혼란과 갈등을 방지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개선함으로써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증진시킨다.
조직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HR은 개인이 가진 다양한 성격적 특성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리더들은 각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역할을 배치하여 조직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조직 내 문화를 구축하여 긍정적인 성격적 특성을 장려하고 부정적인 특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하고, 효과적인 리더십과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지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교육 및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팀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고, 조직 문화를 통해 긍정적인 성격적 특성을 강조하고 부정적인 특성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변화와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과 적응력을 강조하여 모든 성격적 특성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면 조직은 더 나은 협업과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성격적 특성이 직장 생활에 주는 영향 - Work & Life | 더플랩 인사이트
직장에 출근하면 다양한 개성과 성격을 가진 동료들이 있다. 요즘 유행하는 MBTI식으로 표현해도 16가지나 되지만, 우리가 실제 팀워크를 하면서 느끼는 동료나 상사의 유형은 더욱 다양하다. 그
thepllab.com
[출처] 더플랩 인사이트
'HR 콘텐츠 > 조직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문화] 가족같이 일할 분을 찾아요 : 세일즈포스 (0) | 2024.03.25 |
---|---|
[조직문화] 위기에 강한 조직의 심리적 안전감 (2) | 2024.03.13 |
[조직문화] 고성과 팀을 만드는 HR의 역할 (0) | 2024.03.11 |
[조직문화] 유니콘 스타트업의 필수 덕목 : 회고 문화 (0) | 2024.03.11 |
[조직문화] 조직문화 위험신호 감지 체크리스트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