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 콘텐츠/평가

[평가] '동료피드백'의 핵심 공식

by jjunepapa 2024. 2. 5.

 

동료피드백(peer feedback)이라는 용어를 들으면 어떤 느낌, 어떤 행동이 떠오르시나요?

 

많은 기업에서 ‘360도 다면평가’의 일환으로 동료평가 혹은 동료피드백을 사용하고 있다보니, 수평적 관계인 동료들이 나의 업무 혹은 역량에 대해 평가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에요. 또한 평가의 종류 중 하나로 인식되다보니 많아야 분기 1회, 적게는 1년에 1회 진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는 합니다.

 

그러나 동료피드백의 목적이 동료의 성장을 지원하고 성과를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면, 동료피드백은 상시로 진행되어야 효과적입니다. 또한 지정된 특정 동료 간 진행되기 보다는, 누구에게나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을 때 더욱 다양한 방면에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합니다.

 

🔎 동료 피드백의 핵심 공식에 대해 알아볼까요.

 

피드백의 힘, 피드백 핵심공식 두가지

동료피드백을 상시로 해야하는 이유

blog.clap.company

[출처] CLAP블로그

 

💡 동료피드백을 인사평가에 반영시키기에 적합한 HR SaaS 추천 → INHR+

 

[HR 제품 소개] INHR+

💡 상품 개요 성장을 더하는 HR의 기준, INHR+ 💡 요금 : 월 5,000원/인 ~ 더 자세한 요금 관련 내용은 INHR+ 가격정책 에서 확인하세요. INHR+ 가격정책 inhr.im 💡 기능 ✔ MBO/OKR 목표 수립 ✔ 성과지표(K

hr-for-yo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