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관리32

[원격근무] 원격근무를 중단한 기업들의 속마음 기업들이 사무실 출근을 선호하는 심리적 요인 3가지 인간은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모호성 기피(Ambiguity Averson)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기댓값이 같더라도 알려지지 않은 위험보다 알려진 위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모르는 악마보다는 아는 악마가 낫다”라는 서양의 속담처럼 전통적인 사무실 환경에서 일해왔던 관리자에게 아직은 낯선 원격근무는 마치 예측할 수 없는 위험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다는 것은 모호하고 덜 바람직한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인식될 가능성이 있는 거죠. 기업의 리더나 관리자들이 사무실에서 10년간 사무실에서 일했고, 3년간 원격으로 일했다면 전통적인 방식인 사무실 근무가 더 안전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두 가지 업무 방식이 거의 비슷한 업무 성과.. 2024. 2. 29.
[비교_인사관리] 김반장 vs 아임히어워크 오늘 소개할 제품은 바로 김반장과 아임히어워크입니다. 두 제품 다 모두 근태관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긴 힘들지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김반장은, 건설업에 특화된 대표 HR SaaS 플랫폼 입니다. 건설현장 인사 노무 관리의 모든것을 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죠. 아임히어워크는, 위치 기반의 근태관리 App입니다.. 외근사원 근태관리에 특화된 서비스입니다. '모두의 HR'에서는 제품 간 '한 눈에 비교하기'가 가능하도록 '모두의 HR'만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완성된 각 카테고리별 기능 비교를 통해 비교해드립니다. 혹시 추가적으로 두 제품에 대해 더 자세하게 비교를 원하신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제품.. 2024. 2. 29.
[비교_인사관리] 오이사공(5240) VS 샵솔(#SOL) 오늘 소개할 제품은 바로 오이사공(5240)과 샵솔(#SOL)입니다. 두 제품 다 모두 근태관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긴 힘들지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오이사공(5240)은, 인사관리 업무를 프로세스화하여 자동화를 지원합니다. 채용관리부터 인사관리, 근태관리 등 HR과 관련된 다양한 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이죠. 오이사공(5240)은, 인사관리 업무를 프로세스화하여 자동화를 지원합니다. 채용관리부터 인사관리, 근태관리 등 HR과 관련된 다양한 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이죠. 오이사공은 모듈별 과금제를 적용하여 필요한 모듈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사/조직/근태모듈' 기준으로 4,000원으로 가능하여 가격이 저렴합니다. 많이 쓰게 되.. 2024. 2. 29.
[비교_근태관리] U+근무시간 관리 VS 타임키퍼(Timekeeper) 국내 HR SaaS 인사관리 SaaS 제품 중 이번에는 근태관리에 특화된 제품을 비교하고자 합니다. 대부분의 인사관리 SaaS 제품은 근태관리는 기본 기능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근태관리에만 특화한 SaaS 제품들도 꽤 존재하기 때문에 기능 비교를 한다면 인사관리 올인원 제품들과 근태관리 특화된 제품을 같이 비교하는 경우 기능항목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근태관리 특화 제품들만 별도로 비교를 하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시켜드릴 제품은 바로 U+근무시간 관리와 타임키퍼(Timekeeper)입니다. 두 제품 다 모두 근태관리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기는 어렵습다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U+근무시간 관리의 경우 주 52시간 이상 근무하면 PC가 자.. 2024. 2. 22.
[비교_인사관리] 워크업(WORKUP) VS 샤플(Shople) 국내 HR SaaS 인사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워크업(WORKUP)과 샤플(Shople)은 현재 많은 기업에서 도입 사용 중에 있습니다. 두 제품 다 모두 HR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기는 어렵습다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워크업(WORKUP)의 경우 가볍지만 가장 완벽한 HR플랫폼을 지향하며, HR관련 거의 모든 기능들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필수인 '인사/조직''에서는 인사/조직 관련 기능만 가능하고, 그 이상의 기능들 즉 급여, 근태, 평가, 채용, 전자계약은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다행히 모바일과 복리후생은 무료로 제공 됩니다. 비용관련하여 예를 들면, 근태와 급여관리도 함께 하고 싶다면 필수인 '인사/조직' 3,00.. 2024. 2. 19.
[비교_인사관리] 플렉스(flex) VS 시프티(Shiftee) 국내 HR SaaS를 대표하는 플렉스(flex)와 시프티(Shiftee)는 현재 많은 기업에서 도입 사용 중에 있습니다. 두 제품 다 모두 HR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기는 어렵습다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플렉스(flex)의 경우 HR관련 올인원 플랫폼을 지향하며, HR관련 거의 모든 기능들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CORE HR 필수 요금제''에서는 인사관리, 근태관리, 전자결재 등만 가능하고, 그 이상의 기능들, 즉 급여관리, 성과/목표관리, 채용, 오픈API 등은 추가서비스를 선택하여야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급여관리도 함께 하고 싶다면 COREHR 필수요금제 7,000원 + 급여관리 8,000원 추가 되어 15,0.. 2024.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