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를 쌓는 3가지 방법
1) 진심으로 관심 갖기
모든 관계는 관심에서 시작합니다. 가족보다도 더 자주 얼굴을 보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동료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아시나요? 더 나아가서 동료들의 커리어 목표는 무엇인지는 알고 계신가요? 또는 리더나 팀에게 무엇을 바라는지는 알고 계신가요?
가능하다면 구성원들과 평소 캐주얼 대화를 자주 나누며 최근 관심사나 그날그날의 사소한 심리 상태 변화를 캐치하면 좋습니다. 하지만 아직 개인적인 친밀감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면 오히려 업무적 친밀감을 먼저 높이는 것도 방법입니다.
정기적인 1on1을 시작하기 전, 그들의 커리어 목표를 묻는 질문을 해보세요. 현재 재직 중인 회사 및 포지션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커리어를 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회사에서의 모습이 아닌 좀 더 개인적인 욕망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정기 1on1을 통해서도 커리어 목표나 어떤 업무를 좋아하는지, 앞으로 어떤 일을 해보고 싶은지를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때 중요한 것은 진심입니다. 아무리 감추려고 해도 자신을 진심으로 대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상대방은 쉽게 눈치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심으로 그들의 생각을 궁금해한다면 정해진 공식이 없더라도 자연스럽게 많은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2) 평가하지 않기
팀원들이 용기를 갖고 말한 개인적 이야기에 왈가왈부 토를 달면 신뢰감 쌓기는 바로 종결됩니다. 플러스를 만들려고 했다가 0도 아닌 마이너스로 가게 되죠.
개인적인 목표를 상위 리더에게 솔직하게 공유했을 때 ‘내가 생각했던(어쩌면 기대했던) 목표와 달라서 당황스럽다’는 리액션을 보인다면, 구성원은 ‘리더가 나를 진심으로 위하지 않는구나.’ ‘나를 위하는 게 아니라 회사에서 필요한 모습으로 나를 개조하려는 거구나.’ 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는 커리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것을 꺼리게 될 거에요.
극단적인 예시로 팀원이 우리 회사를 떠나고 싶다고 하거나, 아예 다른 일을 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절대 놀라거나 이에 대해 평가하지 마세요. 오히려 용기를 내어 말해주었다는 것에서 관계에 신뢰가 점차 쌓이고 있다고 생각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3) 리더의 의지 보여주기
“저는 당신의 성장에 관심이 있어요" 라고 말하는 사람과 “우리 뭘 해보면 좋을까요? 이런 건 어때요?” 라고 말하는 사람 중, 누가 더 팀원에게 관심을 가진다고 생각하시나요? 당연히 후자일 겁니다.
리더에 대한 신뢰를 만드는 것 중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리더가 실제로 팀원들의 문제나 고민을 해결해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리더가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구성원들은 안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말 사소한 것일지라도 리더가 본인을 위해 이리저리 뛰며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앞으로 무슨 일이 있어도 얘기해도 괜찮겠구나.’라는 든든한 안전감이 생깁니다.
물론 리더가 모든 것을 다 해결해줄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조직문화의 문제, 제 3자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경우 리더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해주기 어렵습니다. 해결이 불가능한 영역까지 책임감있게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금방 지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요청을 받으면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인지, 해줄 수 없는 것인지 명확하게 나눠보세요. 내가 하고 싶은 것과 하기 싫은 것이 아닌, 내 역량과 위치를 활용해 해결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책임지고 도와주세요. 그리고 그 과정을 팀원이 인지할 수 있게 자주 공유해주세요. 내가 할 수 없는 것일지라도, 그 안에서 혹시나 조금이라도 도울 수 있는 일인지를 가장 먼저 검토해주세요. 예를 들어 개인의 힘으로 바꿀 수 없는 조직문화에 대한 컴플레인이라면 ‘인사팀에 의견을 내보겠다’ 정도라도 괜찮습니다. 팀원들도 당연히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회사의 구조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리더가 무엇을 할 수 없는지는 충분히 이해할 겁니다.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더라도 리더의 역량 범위 내에서 해결 방안을 제시해준다면 정말 고마워할거에요.
그럼에도 정말 할 수 없는 일이라면, 솔직하게 얘기하시길 바랍니다. 대신 공감해주세요. 가끔은 해결을 위해서 얘기하는 게 아니라 리더에게 공감받고 싶어서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일은 내가 해결해줄 순 없지만 OOO와 얘기해보면 어때요?” 라고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을 연결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요즘 리더십의 기본기: 관심
함께 일하고 싶은 요즘 리더
blog.clap.company
[출처] 클랩 블로그
💡 정기적인 목표관리와 1on1이 가능한 HR SaaS 추천 → 클랩(CLAP)
[HR 제품 소개] 클랩(CLAP)
💡 상품개요 최고의 조직을 만드는 가장 똑똑한 방법, 클랩(CLAP) 💡 요금 : 월 4,000원 ~ 더 자세한 요금 관련 내용은 클랩 CLAP 요금제 에서 확인하세요. 최고의 조직을 만드는 성장관리 솔루션 |
hr-for-you.tistory.com
'HR 콘텐츠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 팀원의 성장을 돕는 7가지 리더십 (1) | 2024.03.11 |
---|---|
[리더십] 직원들이 좋아하는 리더의 유형 (0) | 2024.03.11 |
[리더십] MZ세대가 원하는 경영진 리더십 (0) | 2024.03.06 |
[리더십] 전참시를 통해 알아본 송은이 리더십 (1) | 2024.02.28 |
[리더십] 카리스마보다 섬세한 '관심'이 요구되는 요즘 리더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