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직 중엔 노무 이슈를 제기하지 않다가 퇴직한 이후에 연차수당, 퇴직금, 임금체불 진정 등 관련 노무 이슈를 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했는지에 따라 회사가 검토해야 할 노무 리스크는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인 사항인 사직서 수령, 퇴직금/연차휴가 정산, 4대보험 상실 신고 등을 잘 지킨다면 최소한의 법적 분쟁은 막을 수 있습니다.
🔎 근로 관계 종료 시 회사가 어떤 것들을 챙겨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직원이 퇴직할 때 HR 실무자가 챙겨야 할 서류
직원이 퇴직할 때 HR 실무자가 챙겨야 할 서류 안녕하세요? HCG 중견·중소기업 인사관리 전문 제이드(...
blog.naver.com
[출처] JaDE인사시스템 (네이버블로그)
💡 퇴직자 관리기능이 있는HR SaaS 추천 → 타임키퍼(Timekeeper)
[HR 제품 소개] 타임키퍼(TimeKeeper)
💡 상품 개요 탑클래스 근무관리 플랫폼, 타임키퍼(TimeKeeper) 💡 요금 : 월 2,000원/인 ~ 더 자세한 요금 관련 내용은 이용요금 | 타임키퍼(Timekeeper) (novusmay.com) 에서 확인하세요. 근무관리 플랫폼,
hr-for-you.tistory.com
'HR 콘텐츠 > 퇴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 퇴직금 Q&A 총정리 (1) | 2024.02.22 |
---|---|
[퇴직] 환승이직의 시대, HR이 주목해야 할 점은? (0) | 2024.02.14 |
[퇴직] 직원의 갑작스런 퇴직 통보, 퇴직일은 언제일까? (0) | 2024.02.08 |
[이직] MZ세대의 등장과 HR의 변화, 그리고 높아진 이직율 (0) | 2024.02.07 |
[퇴사방지] MZ세대의 퇴사를 막기 위한 'Stay Interview'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