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가8

[평가] 평가는 성장을 지원하는 도구 평가가 변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는 절대평가로, 정량평가는 정성평가로, 그리고 서술형 주관식 평가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요. 특히, 애자일 방식이 강조되면서 동료를 경쟁자로 보게 만드는 상대평가보다 협업을 중시하는 절대평가를 채택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바뀌어가는 평가의 변화를 알아볼까요? “평가는 성장을 지원하는 도구” - 레몬베이스 캠프 평가의 변화, '서술형'과 '리더'에 주목해야 한다 lemonbase.com [출처] 레몬베이스 💡 CORE HR에 평가관리도 가능한 HR SaaS 추천 → 위펄슨(weperson) [HR 제품 소개] 위펄슨(weperson) 💡 상품 개요 가장 쉬운 인사관리, HR 플랫폼 위펄슨(weperson) 💡 요금 : 월 4,000원/인.. 2024. 2. 1.
[성과관리] "성장 피드백"이 평가결과보다 중요한 이유 ‘MZ’로 대변되는 새로운 세대가 원하는 성과관리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들은 즉각적 인정/보상과 정보 투명성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습니다. 한 해의 성과를 연말에 한번에 갈무리해 평가하고 통보하는 기존의 성과 관리에 이들이 시큰둥한 이유죠. 그렇기에 일회성 평가가 아닌 지속적인 성과관리(CPM)가 필요합니다. CPM은 기업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춘 계획-실행-확인/평가의 연속이라는 경영활동의 흐름에 맞춤합니다. 1. 계획(Planning) CPM을 실행하는 기업에선 일반적으로 1월 첫째주까지는 회사의 최고경영자(CEO)가 타운홀 미팅을 통해 지난해에 대한 간단한 리뷰와 함께 새해 전략 방향성을 모든 구성원에게 공유한다. 그 이후 각 사업을 총괄하는 경영진들이 해당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자체 타운홀 미팅을 ..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