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 콘텐츠217

[비교_인사관리] 유스트라 HR(U.STRA HR) VS 피플리(Peoply) 오늘은 국내 대기업 전산 자회사에서 만든 HR 제품들에 대해 비교해보겠습니다. 국내 HR SaaS를 대표하는 유스트라 HR(U.STRA HR)과 피플리(Peoply)는 현재 많은 기업에서 도입 사용 중에 있습니다. 두 제품 다 모두 HR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누가 더 우월하다고 비교하기는 어렵습다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유스트라 HR(U.STRA HR)의 경우 GS그룹의 IT자회사인 GSITM에서 출시한 서비스로, 통합 인사 관리 부터 인재관리, 사내행사까지 한번에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은 인사관리, 조직관리, 근태관리, 급여관리, 평가관리 등이 제공됩니다. 비용은 별도 문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지속적인 성과관리가 필요하다면 맞춤형 평가체계를 지원하는 U... 2024. 3. 18.
[트렌드] HR에 AARRR을 적용해 본다면? AARRR 분석 프레임워크? AARRR 분석 프레임워크는 데이터로 기업 성장을 바라볼 때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에요. 미국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500 startups를 설립한 데이브 매클루어라는 분이 고안했다고 하는데요. 이제는 대중적인 개념이 되어 지표 측정과 개선에 천착하는 경영인들은 AARRR을 통해 문제를 찾고 성장을 가늠하죠. 이 마법 같은 다섯개의 단어는 힘이 셉니다.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어요. 각각의 퍼널을 개선하고 싶을 때 이런 질문을 떠올려 보면 좋아요. Acquisition(획득): 새로운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어떻게 접하고 있는가? Activation(활성): 고객이 처음 서비스를 접할 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가? Retention(유지): 고객이 서비스를 다시 사용하.. 2024. 3. 15.
[급여] 최저임금에 대한 5가지 궁금증 1. 최저임금, 왜 매년 바뀌나요? 최저임금은 매년 결정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어요. 최저임금법 제8조 1항을 보면 ‘고용노동부장관은 매년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어요. 최저임금제도는 1988년부터 시행되었는데요. 그동안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꾸준히 인상을 거듭해왔습니다. 내려간 적도, 동결된 적도 없어요. 최저임금이 인상되는 명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경제성장률이나 물가상승률과 연관되어 정해져왔었다고 해요. 1989년의 최저임금은 600원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29.7% 인상된 금액이었죠. 2. 최저임금, 누가 정하나요? 마찬가지로 최저임금법 제8조를 보면 ‘최저임금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하고, 위원회가 심의하여 의결한 최저임금안에 따라 최저임금을 결정하여야 한다... 2024. 3. 15.
[성과관리] 성과관리에 관한 6가지 궁금증 1. 성과란 무엇인가? 성과란 직원이 자신에게 요구되는 일을 수행하고 주어진 책임을 충족시켜 어떤 형태의 산출물로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과는 효용, 퀄리티, 효율 등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얼마나 또는 어떻게 조직에 기여하는지를 판단합니다. 쉽게 말해, ‘조직에 도움이 되는 일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HR의 성과관리 측면에서는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로 생각될 수 있겠습니다. 근데 목표를 달성하는 것만이 ‘성과’ 맞나요? 우리 조직에 필요한 ‘성과’는 무엇인가요? 일단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 결과만을 위한 성과 등 하나의 과녁을 바라보듯 성과를 보는 시각을 좀 바꿔보는 것은 어떨까요? 보다 가능성을 열어놓고 ‘성과’를 얘기한다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습.. 2024. 3. 15.
[재택근무] 재택근무 '번아웃' 대처방안 원격근무를 하는 사람들 중 출퇴근 시간을 아끼면서 그 시간에 일을 더 많이 한다는 분들을 적지 않게 만났습니다. 그러다보니 일과 삶의 균형을 찾는 게 어렵다거나 외로움을 느낀다거나 하는 경우도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사무실에서 일할 때보다 온-오프 스위치 작동이 명확하게 안 되어 ‘번아웃(Burnout)’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번아웃은 어떤 일을 한 후 느끼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느끼는 극도의 피로감으로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답니다. 번아웃에 대한 몇 가지 징후를 살펴보시죠. 집중하기 힘들어서 일이 제 시간에 끝나지 않아 늘 일이 쌓여 있다. 해야 할 일을 자꾸 잊어버린다. 내가 업무를 잘 하고 있는지 확신이 없다. 맡고 있는 업무나 직장에 회의감이 들고 부질 없게 느낀다. 늘.. 2024. 3. 15.
[재택근무] 재택근무를 하며 배운것들 일하는 장소, 모두가 똑같아야 할까? 최근엔 직원들이 사무실에 며칠 출근해야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들이 대다수입니다. 옥스퍼드 대학교 비즈니스 스쿨의 조나단 트레버(Jonathan Trevor) 교수는 직원들이 맡고 있는 업무의 유형을 파악하고 업무 유형에 맞는 일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가 실제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부분의 업무는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디자인과 같이 혼자서 집중해서 하는 창의적인 업무, 2) 데이터를 다루는 것과 같이 혼자서 진행하는 업무, 3) 일상적인 프로젝트 관리 업무, 그리고 4) 제품 개발과 같이 협업이 필요한 업무입니다. 앞의 두 가지 업무 방식은 원격으로도 충분히 진행할 수 있는 반면 협업 기반의 업무는 그렇지 않.. 2024.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