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 콘텐츠/리더십14

[리더십] 팀원의 성장을 돕는 7가지 리더십 1. 팀원의 개인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팀원들이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첫 번째 단계는 각 구성원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개인의 목표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팀원은 마음 속 목표가 있더라도 현재 맡고 있는 업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공유하는 것을 두려워할 수 있는데, 이럴 땐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2. 자연스럽게 성장 목표에 대해 질문하기 신뢰 관계가 형성되었다면, 이제 자연스럽게 팀원의 목표에 대해 이야기할 차례입니다. 1on1에서 개인의 목표에 대해 적절한 질문을 해보세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추천합니다. 혹시 스스로 계획한 장기적인 목표가 있으신가요? 있다면 어떤 목표인지 궁금합니다. (장기적인 계획이 아직 없다면) 만약 로또 1등에 당첨되셨다고 상상.. 2024. 3. 11.
[리더십] 직원들이 좋아하는 리더의 유형 팀을 운영하는 팀 리더는 팀 성과 창출을 위해 무척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팀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성과에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팀원의 몰입도, 퇴사율, 협업 효과성 등 다양한 분야에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죠. Gallup의 연구에 따르면 리더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따라 직원의 참여도가 70% 가까이 차이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팀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 리더십 유형 4가지를 살펴봅니다. 첫 번째 유형 : 구성원을 ‘인정’해주는 매니저 컨설팅펌 Towers Watson의 연구에 따르면, 매니저로부터 인정받은 구성원의 참여도는 60% 증가한다고 합니다. 많은 리더들이 멤버에게 좋은 평가등급을 제공하거나, 승진을 위한 지원 등을 제공할 때에만 팀원들이 ‘인정받는다’고 느낄 수 있다고 생.. 2024. 3. 11.
[리더십] 신뢰를 쌓는 3가지 방법 신뢰를 쌓는 3가지 방법 1) 진심으로 관심 갖기 모든 관계는 관심에서 시작합니다. 가족보다도 더 자주 얼굴을 보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동료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아시나요? 더 나아가서 동료들의 커리어 목표는 무엇인지는 알고 계신가요? 또는 리더나 팀에게 무엇을 바라는지는 알고 계신가요? 가능하다면 구성원들과 평소 캐주얼 대화를 자주 나누며 최근 관심사나 그날그날의 사소한 심리 상태 변화를 캐치하면 좋습니다. 하지만 아직 개인적인 친밀감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면 오히려 업무적 친밀감을 먼저 높이는 것도 방법입니다. 정기적인 1on1을 시작하기 전, 그들의 커리어 목표를 묻는 질문을 해보세요. 현재 재직 중인 회사 및 포지션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커리어를 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회사에.. 2024. 3. 8.
[리더십] MZ세대가 원하는 경영진 리더십 1. 최고의 선택이 아닌, 최선의 선택을 위하여 HR 업무의 경우, 루틴한 운영성 업무 외 새롭게 도입되는 인사제도나 기존의 것을 변화시켜야 하는 일에 대해선 그 영향이 크든 작든, 최소 2차 리더까진 승인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HR 제도가 바뀌면 많은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인데요. 특히, 평가/보상 제도의 경우는 전체 구성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가장 예민한 아젠다이기에 경영진의 승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이 결정은 경영진에겐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시나리오를 예측하며 결정을 해야 하기에 참 힘든 의사결정입니다. HR 영역은 최고의 선택이 아닌, 최선의 선택을 위해 수많은 논의 과정이 필요하기에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또 .. 2024. 3. 6.
[리더십] 전참시를 통해 알아본 송은이 리더십 1. 솔선수범한다 쿠킹 스튜디오에 방문한 송은이는 싱크대에서 방치 중인 컵 두 개를 발견하는데요, 싱크대를 사진으로 찍은 뒤 고무장갑을 끼고 직접 컵을 세척합니다. 흔히 말하는 솔선수범하는 리더이지요. 남에게 지시하기 보다 솔선수범하는 송 대표, 라는 자막과 함께 '이렇게 치워두면 다음부터는 알아서들 한다'는 송은이의 멘트에서 구성원들에 대한 믿음도 느껴졌습니다. 2. 즉시, 명확하게 피드백한다 솔선수범과 함께 뒤따라오는 것은 피드백입니다. 이러한 피드백에서 눈에 띄었던 점은 즉시 진행된다는 점, 그리고 명확하고 담백하게 사실(fact) 기반으로 전달한다는 점이에요. 어떠한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송은이는 문제를 먼저 솔선수범하여 해결한 뒤 이에 대한 피드백을 단체 채팅방에 즉시 남깁니다. 설거지를 직.. 2024. 2. 28.
[리더십] 카리스마보다 섬세한 '관심'이 요구되는 요즘 리더 여러분 마음 속의 리더는 어떤 모습인가요? ‘리더’를 떠올렸을 때 두 가지 그림을 그려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전통적인 리더상입니다. 큰 삼각형 꼭대기에 리더가 깃발을 들고 서 있죠. 삼각형 밑에는 직원들이 계층을 나누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요즘의 리더상입니다. 이 리더는 수평선 위에 팀원들과 함께 서 있습니다. 그리고 팀원들의 짐을 나누어 들고 있습니다. 지금의 리더들에게는 카리스마를 요구하기 보다는 ‘원온원’, ‘공감대 형성’, ‘구성원들의 성장’ 등의 단어를 요구합니다. 리더와 구성원은 [원온원]을 통해 서로 소통하며, 어떤 일을 시작하기에 앞서 [공감대를 형성] 해야합니다. 조직의 목표 달성도 중요하지만 [구성원들의 성장]에도 힘써야 하는 거죠. 🎈신뢰를 쌓는 3가지 방법 1) 진.. 2024. 2. 22.